간이, 일반과세자의 차이점
간이과세자와 일반과세자, 어떤 것을 선택해야 할까요? 사업을 시작할 때 가장 먼저 준비해야 할 일중 한 가지는 바로 사업자등록증 준비하기. 이 사업자등록증을 신청할 때, 우리는 세금 납부와 관련하여 크게 3 분류를 고려해야 합니다. 첫 번째, 개인사업자인지, 법인사업자인지, 두 번째, 개인사업자를 선택했을 경우, 면세사업자인지, 과세사업자인지, 마지막 세 번째는 과세사업자를 선택했을 경우, 간이과세사업자인지, 일반과세사업자인지를 확인한 후에 그에 따른 사업자등록증을 발급해줍니다. 그러면, 이러한 과세사업자와 면세사업자는 어떤 차이로 나뉘는 것일까요? 면세사업자란? 면세 재화(꽃, 책, 곡물 등) 혹은 용역(의료 등)에 따른 면세업종(꽃집, 출판업, 서점, 한의원 등)의 사업자를 의미하며, 세금에 대해서 ..
2021. 1. 4.
사업소득 세금 신고절차
사업소득, 세금신고절차가 어떻게 될까요? N잡 시대에 맞춰, 최근 많은 분들이 기존에 다니고 있는 직장생활 외에도 다양한 개인 부업을 하고 있는데요. 이러한, 직장 생활에서 번 소득(근로소득)이 아닌 부동산 투자, 유튜버, 블로거, 쇼핑몰 운영 등 개인적인 사업을 통해 번 소득을 사업소득이라 합니다. 이 사업소득은 연말정산을 할 때 내가 준비한 서류에 따라 소득공제, 세액공제를 받는 근로소득과는 달리, 전체 수입에서 필요경비(매출액)를 뺀 순소득에 대해 세금이 부과되게 됩니다. 좀더 자세하게 설명을 드리면, 총수입금액에서 필요경비를 뺀 순소득에서 소득공제와 이월결손금공제(간단히 말하면 적자)를 한 후 과세표준을 계산하고, 이 비용에서 세금 계산이 됩니다. 이러한 사업소득은 아래와 같은 절차로 신고하게 됩..
2020. 12. 10.
소득의 종류에 따른 세테크 절세 전략
소득의 종류, 이에 따라 세테크가 달라집니다. 소득에 대한 세금을 절세하기 위해서는, 소득 유형에 대해 알고 각 소득 유형에 따른 절세 방법을 알아야합니다. 이러한 소득 종류는 크게 "종합소득", "퇴직소득", "양도소득"으로 구분합니다. 그 중에서 종합소득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종합소득은 매년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벌어들인 소득으로서, 1. 이자소득, 2. 배당소득, 3. 사업소득, 4. 근로소득, 5. 연금소득, 6. 기타소득으로 나뉩니다. 하나하나 간단히 살펴보면, 1. 이자소득, 배당소득 - 이 두가지의 소득을 합해 '금융소득'이라 부르며, 예금이나 대여금, 주식투자금 등에 대해 발생하는 소득을 의미합니다. 연간 합계 2,000만원 이하 기준 분리과세로 따로 세금이 부과되지만, 그보..
2020. 12. 8.